본문 바로가기

IT Story5

[자격증] 정보처리기사 실기 - 합격을 위한 암기 요약본_통합구현 56). 통합 구현 -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맞춰 송 수신 모듈과 중계 모듈간의 연계를 구현하는 것을 의미한다. - 일반적인 통합 구현은 송 수신 시스템과 모듈, 중계 시스템, 연계 데이터, 네트워크로 구성된다. - 송신 시스템과 모듈 - 송신 시스템은 데이터를 생성 및 변환하여 전송하는 시스템으로, 송신 모듈과 모니터링 기능으로 구성된다. - 송신 모듈은 전송 데이터를 생성하고 필요에 따라 전송 데이터의 변환 등을 수행한다. - 모니터링 기능은 전송 데이터의 생성부터 송신까지의 과정과 송신 상태 등을 확인한다. - 수신 시스템과 모듈 - 수신 시스템은 수신 받은 데이터를 정제 및 변환하는 시스템으로, 수신 모듈과 모니터링 기능으로 구성된다. - 수신 모듈은 수신 데이터를 정제하고 애플리케이션이나 데이터베.. 2021. 10. 5.
[자격증] 정보처리기사 실기 - 합격을 위한 암기 요약본_데이터 입출력 구현 42). 데이터 모델 - 현실 세계의 정보들을 컴퓨터에 표현하기 위해서 단순화, 추상화하여 체계적으로 표현한 개념적 모형이다. - 데이터 모델의 구성 요소 - 개체 - 데이터베이스에 표현하려는 것으로, 사람이 생각하는 개념이나 정보 단위 같은 현실 세계의 대상체 - 속성 - 데이터의 가장 작은 논리적 단위로서 파일 구조상의 데이터 항목 또는 데이터 필드에 해당함 - 관계 - 개체 간의 관계 또는 속성 간의 논리적인 연결을 의미함 43). 데이터 모델의 종류 - 개념적 데이터 모델 - 현실 세계에 대한 인간의 이해를 돕기 위해 현실 세계에 대한 인식을 추상적 개념으로 표현하는 과정 - 논리적 데이터 모델 - 개념적 모델링 과정에서 얻은 개념적 구조를 컴퓨터가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는 컴퓨터 세계의 환경에 .. 2021. 7. 9.
[자격증] 정보처리기사 실기 - 합격을 위한 암기 요약본_요구사항 확인 30). 현행 시스템 파악 절차 - 시스템 구성 파악 - 현행 시스템의 구성은 조직의 주요 업무를 담당하는 기간 업무와 이를 지원하는 지원 업무로 구분하여 기술 - 시스템 기능 파악 - 현행 시스템의 기능은 단위 업무 시스템이 현재 제공하는 기능들을 주요 기능과 하부 기능, 세부 기능으로 구분하여 계층형으로 표시 - 시스템 인터페이스 파악 - 현행 시스템의 인터페이스에는 단위 업무 시스템 간에 주고받는 데이터의 종류, 형식, 프로토콜, 연계 유형, 주기 등을 명시 - 아키텍처 구성 파악 - 현행 시스템의 아키텍처 구성은 기간 업무 수행에 어떠한 기술 요소들이 사용되는지 최상위 수준에서 계층별로 표현한 아키텍처 구성도로 작성 - 소프트웨어 구성 파악 - 소프트웨어 구성에는 단위 업무 시스템별로 업무 처리를.. 2021. 7. 9.
[자격증] 정보처리기사 실기 - 합격을 위한 암기 요약본_프로그래밍 언어 활용(2) 15). 사용자 정의 함수 - 사용자가 필요한 기능을 취향대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는 함수이다. - 사용자 정의 함수를 이용하면 프로그램 구조가 간단해지고 이해하기 쉬워진다. - 동일한 코드의 반복 입력을 줄일 수 있다. 16). 재귀 함수 - 자기가 자기를 호출하는 순환 프로그램을 의마한다. - 재귀 함수는 순환하는 만큼 반복하여 실행하면서 변수에 저장된 값을 추적하면 결과를 이해하기 쉽다. 17). Java의 클래스와 메소드 - 클래스는 객체 생성을 위한 필드와 메소드를 정의하는 설계도로, Java는 아무리 작은 프로그램이라도 클래스를 만들어서 사용해야 한다. 18). Python의 기초 - input() 함수 - Python의 표준 입력 함수로, 키보드로 입력받아 변수에 저장하는 함수이다. - 입력.. 2021. 7. 9.
[자격증] 정보처리기사 실기 - 합격을 위한 암기 요약본_프로그래밍 언어 활용(1) 1). 데이터 타입 - 데이터 타입 - 변수에 저장될 데이터의 형식을 나타내는 것으로, 변수에 값을 저장하기 전에 문자형, 정수형, 실수형 등 어떤 형식의 값을 저장할지 데이터 타입을 지정하여 변수를 선언해야 한다. - 데이터 타입의 유형 - 정수 타입 - 정수, 즉 소수점이 없는 숫자를 저장할 때 사용한다. - 부동 소수점 타입 - 소수점 이하가 있는 실수를 저장할 때 사용한다. - 문자 타입 - 한 문자를 저장할때 사용한다 - 작은따옴표 안에 표시한다. - 문자열 타입 - 문자열을 저장할 때 사용한다. - 큰따옴표 안에 표시한다. - 불린 타입 - 조건의 참, 거짓 여부를 판단하여 저장할 때 사용한다. - 기본값은 거짓 이다. - 배열 타입 - 같은 타입의 데이터 집합을 만들어 저장할 때 사용한다. .. 2021. 7. 9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