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). 데이터 타입
- 데이터 타입
- 변수에 저장될 데이터의 형식을 나타내는 것으로, 변수에 값을 저장하기 전에 문자형, 정수형, 실수형 등 어떤 형식의 값을 저장할지 데이터 타입을 지정하여 변수를 선언해야 한다.
- 데이터 타입의 유형
- 정수 타입
- 정수, 즉 소수점이 없는 숫자를 저장할 때 사용한다.
- 부동 소수점 타입
- 소수점 이하가 있는 실수를 저장할 때 사용한다.
- 문자 타입
- 한 문자를 저장할때 사용한다
- 작은따옴표 안에 표시한다.
- 문자열 타입
- 문자열을 저장할 때 사용한다.
- 큰따옴표 안에 표시한다.
- 불린 타입
- 조건의 참, 거짓 여부를 판단하여 저장할 때 사용한다.
- 기본값은 거짓 이다.
- 배열 타입
- 같은 타입의 데이터 집합을 만들어 저장할 때 사용한다.
- 데이터는 중괄호 안에 콤마로 구분하여 값들을 나열한다.
2). 변수와 기억 클래스
- 변수
- 컴퓨터가 명령을 처리하는 도중 발생하는 값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으로, 변할 수 있는 값을 의미한다.
- 변수는 저장하는 값에 따라 정수형, 실수형, 문자형, 포인터형 등으로 구분한다.
- 기억 클래스
- 변수 선언 시 메모리 내에 변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한 기억영역이 할당되는데, 할당되는 기억영역에 따라 사용 범위에 제한이 있다.
이러한 기억영역을 결정하는 작업을 기억 클래스라 한다.
- 자동 변수
- 함수나 코드의 범위를 한정하는 블록 내에서 선언되는 변수이다.
- 외부 변수
- 현재 파일이나 다른 파일에서 선언된 변수나 함수를 참조하기 위한 변수이다.
- 정적 변수
- 함수나 블록 내에서 선언하는 내부 정적 변수와 함수 외부에서 선언하는 외부 정적 변수가 있다.
- 레지스터 변수
- 메모리가 아닌 CPU 내부의 레지스터에 기억영역을 할당받는 변수이다.
3). scanf() 함수 / printf() 함수
- scanf() 함수
- C언어의 표준 입력 함수로, 키보드로 입력받아 변수에 저장하는 함수이다.
- printf() 함수
- C언어의 표준 출력 함수로, 인수로 주어진 값을 화면에 출력하는 함수이다.
4). Java에서의 표준 입 출력
- Java에서의 표준 입력
- Java에서 키보드로 입력받은 값을 변수에 저장하려면 먼저 Scanner 클래스를 이용해
키보드로부터 값을 입력받는 객체 변수를 생성한 후 이를 사용해야 한다.
- 객체 변수 생성후 문자열 값 입력받기
- Scanner scan = new Scanner(System.in);
- String input = scan.nextLine();
- Java에서의 펴준 출력
- Java에서 값을 화면에 출력할 때는 printf() 메소드를 이용한다.
- 출력 형식
- System.out.printf(서식 문자열, 변수);
5). 연산자1
- 전치
- 변수 앞에 증감 연산자가 오는 형태로 먼저 변순의 값을 증감시킨 후 변수를 연산에 사용한다.
- 후치
- 변수 뒤에 증감 연산자가 오는 형태로 먼저 변수를 연산에 사용한 후 변수의 값을 증감시킨다.
6). 연산자2
- sizeof
- 자료형의 크기를 표시한다.
- .(콤마)
- 콤마로 구분하여 한줄에 두개 이상의 수식을 작성하거나 변수를 정의한다.
-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순서대로 수행되며, 순서 연산자라 부르기도 한다.
- 자료형
- 사용자가 자료형을 다른 자료형으로 변환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, cast 연산자라고 부른다.
- 변환할 자료형을 괄호 안에 넣어서 변환할 값이나 변수명 앞에 놓는다.
7). 연산자 우선순위
- 한 개의 수식에 여러 개의 연산자가 사용되면 기본적으로 다음 글의 순서대로 처리된다.
- 우선순위
- 단한 연산자 -> 이항 연산자 -> 삼한 연산자 -> 대입 연산자 -> 순서 연산자
- 결합규칙
- 단항연산자, 대입연산자 ( <- )
- 이항연산자, 삼항연산자, 순서연산자 ( -> )
8). if문
- 단순 if문
- if문은 조건에 따라서 실행할 문장을 달리하는 제어문이며, 단순 if문은 조건이 한 개 일 때 사용하는 제어문이다.
- 조건이 참일 때만 실행할 문장을 지정할 수도 있고, 참과 거짓에 대해 각각 다른 실행문을 지정할 수도 있다.
- 다중 if문
- 조건이 여러 개 일 때 사용하는 제어문이다.
9). switch문
- 조건에 따라 분기할 곳이 여러 곳인 경우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는 제어문이다.
- case문의 레이블에는 한 개의 상수만 지정할 수 있으며, int, char, enum형의 상수만 가능하다.
- case문의 레이블에는 변수를 지정할 수 없다.
- break문은 생략이 가능하지만 break문이 생략되면 수식과 레이블이 일치할 때 실행할 문장부터 break문 또는 switch문이 종료될 때까지 모든 문장이 실행된다.
10). for문
- 초기값, 최종값, 증가값을 지정하는 수식을 이용해 정해진 횟수를 반복하는 제어문이다.
- 초기값을 정한 다음 최종값에 대한 조건이 참이면 실행할 문장을 실행한 후 초기값을 증가값 만큼 증가시키면서 최종값에 대한 조건이 참인 동안 실행할 문장을 반복 수행한다.
- 초기값, 최종값, 증가값 중 하나 이상을 생략할 수 있고, 각각의 요소에 여러 개의 수식을 지정할 수도 있다.
- for문은 처음부터 최종값에 대한 조건식을 만족하지 못하면 한 번도 수행하지 않는다.
11). 기타 반복문
- while문
- 조건이 참인 동안 실행할 문장을 반복 수행하는 제어문이다.
- while문은 조건이 참인동안 실행할 문장을 반복 수행하다가 조건이 거짓이면 while문을 끝낸 후 다음 코드를 실핸한다.
- while문은 조건이 처음부터 거짓이면 한 번도 수행하지 않는다.
- do~while문
- 조건이 참인 동안 정해진 문장을 반복 수행하다가 조건이 거짓이면 반복문을 벗어나는 while문과 같은 동작을 하는데,
다른 점은 do~while문은 실행할 문장을 무조건 한 번 실행한 다음 조건을 판단하여 탈출 여부를 결정한다는 것이다.
- do~while문은 실행할 문장을 우선 실행한 후 조건을 판별하여 조건이 참이면 실행할 문장을 계속 반복 수행하고, 거짓이면 do~while문을 끝낸 후 다음 코드를 실행한다.
- break, continue
- switch문이나 반복문의 실행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예약어이다.
- break : switch문이나 반복문 안에서 break가 나오면 블록을 벗어난다.
- continue
- continue 이후의 문장을 실행하지 않고 제어를 반복문의 처음으로 옮긴다.
- 반복문에서만 사용된다.
12). 배열과 문자열
- 배열의 개념
- 동일한 데이터 유형을 여러 개 사용해야 할 경우 이를 손쉽게 처리하기 위해 여러 개의 변수들을 조합해서 하나의 이름으로 정의해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.
- 배열은 변수명 뒤에 대괄호 []를 붙이고 그 안에 사용할 개수를 지정한다.
- C언어에서 배열의 위치는 0부터 시작된다.
- C언어에서 배열 위치를 나타내는 첨자 없이 배열 이름을 사용하면 배열의 첫 번째 요소의 주소를 지정하는 것과 같다.
- 1차원 배열
- 변수들을 일직선상의 개념으로 조합한 배열이다.
- 2차원 배열
- 변수들을 평면, 즉 행과 열로 조합한 배열이다.
- 배열 형태의 문자열 변수
- C언어에서는 큰따옴표로 묶인 글자는 글자 수에 관계없이 문자열로 처리된다.
- C언어에는 문자열을 저장하는 자료형이 없기 때문에 배열 또는 포인터를 이용하여 처리한다.
- 배열에 문자열을 저장할 때는 배열 선언 시 초기값으로 지정해야 하며, 이미 선언된 배열에는 문자열을 저장할 수 없다.
- 문자열 끝에 자동으로 널 문자가 삽입되므로, 널 문자까지 고려하여 배열 크기를 지정해야 한다.
13). Java에서의 배열과 문자열
- Java에서의 배열 처리
- Java에서는 향상된 for문을 사용할 수 있는데, 향상된 for문은 객체를 대상으로만 가능하다.
- Java에서는 배열을 객체로 취급하며, 배열을 이용하여 작업할 때 필요할 만한 내용은 이미 API로 만들어 두었기 때문에 잘 골라서 사용하면 된다.
- Java의 문자열
- Java에서는 문자열을 처리할 수 있도록 클래스를 제공하므로 그에 따른 속성과 메소드도 당연히 지원한다.
14). 포인터
- 포인터와 포인터 변수
- 포인터는 변수의 주소를 말하며, C언어에서는 주소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.
- C언어에서 변수의 주소를 저장할 때 사용하는 변수를 포인터 변수라 한다.
- 포인터 변수를 선언할 때는 자료의 형을 먼저 쓰고 변수명 앞에 간접 연산자 *를 붙인다.
- 실행문에서 포인터 변수에 간접 연산자 *를 붙이면 해당 포인터 변수가 가리키는 곳의 값을 말한다.
- 포인터와 배열
- 배열을 포인터 변수에 저장한 후 포인터를 이용해 배열의 요소에 접근할 수 있다.
- 배열 위치를 나타내는 첨자를 생략하고 배열의 대표명만 지정하면 배열의 첫 번째 요소의 주소를 지정하는 것과 같다.
* TXT 파일 정리 첨부드립니다.
'IT Story > 일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자격증] 정보처리기사 실기 - 합격을 위한 암기 요약본_통합구현 (0) | 2021.10.05 |
---|---|
[자격증] 정보처리기사 실기 - 합격을 위한 암기 요약본_데이터 입출력 구현 (0) | 2021.07.09 |
[자격증] 정보처리기사 실기 - 합격을 위한 암기 요약본_요구사항 확인 (0) | 2021.07.09 |
[자격증] 정보처리기사 실기 - 합격을 위한 암기 요약본_프로그래밍 언어 활용(2) (0) | 2021.07.09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