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71

[자격증] 정보처리기사 실기 - 합격을 위한 암기 요약본_통합구현 56). 통합 구현 -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맞춰 송 수신 모듈과 중계 모듈간의 연계를 구현하는 것을 의미한다. - 일반적인 통합 구현은 송 수신 시스템과 모듈, 중계 시스템, 연계 데이터, 네트워크로 구성된다. - 송신 시스템과 모듈 - 송신 시스템은 데이터를 생성 및 변환하여 전송하는 시스템으로, 송신 모듈과 모니터링 기능으로 구성된다. - 송신 모듈은 전송 데이터를 생성하고 필요에 따라 전송 데이터의 변환 등을 수행한다. - 모니터링 기능은 전송 데이터의 생성부터 송신까지의 과정과 송신 상태 등을 확인한다. - 수신 시스템과 모듈 - 수신 시스템은 수신 받은 데이터를 정제 및 변환하는 시스템으로, 수신 모듈과 모니터링 기능으로 구성된다. - 수신 모듈은 수신 데이터를 정제하고 애플리케이션이나 데이터베.. 2021. 10. 5.
[자격증] 정보처리기사 실기 - 합격을 위한 암기 요약본_데이터 입출력 구현 42). 데이터 모델 - 현실 세계의 정보들을 컴퓨터에 표현하기 위해서 단순화, 추상화하여 체계적으로 표현한 개념적 모형이다. - 데이터 모델의 구성 요소 - 개체 - 데이터베이스에 표현하려는 것으로, 사람이 생각하는 개념이나 정보 단위 같은 현실 세계의 대상체 - 속성 - 데이터의 가장 작은 논리적 단위로서 파일 구조상의 데이터 항목 또는 데이터 필드에 해당함 - 관계 - 개체 간의 관계 또는 속성 간의 논리적인 연결을 의미함 43). 데이터 모델의 종류 - 개념적 데이터 모델 - 현실 세계에 대한 인간의 이해를 돕기 위해 현실 세계에 대한 인식을 추상적 개념으로 표현하는 과정 - 논리적 데이터 모델 - 개념적 모델링 과정에서 얻은 개념적 구조를 컴퓨터가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는 컴퓨터 세계의 환경에 .. 2021. 7. 9.
[자격증] 정보처리기사 실기 - 합격을 위한 암기 요약본_요구사항 확인 30). 현행 시스템 파악 절차 - 시스템 구성 파악 - 현행 시스템의 구성은 조직의 주요 업무를 담당하는 기간 업무와 이를 지원하는 지원 업무로 구분하여 기술 - 시스템 기능 파악 - 현행 시스템의 기능은 단위 업무 시스템이 현재 제공하는 기능들을 주요 기능과 하부 기능, 세부 기능으로 구분하여 계층형으로 표시 - 시스템 인터페이스 파악 - 현행 시스템의 인터페이스에는 단위 업무 시스템 간에 주고받는 데이터의 종류, 형식, 프로토콜, 연계 유형, 주기 등을 명시 - 아키텍처 구성 파악 - 현행 시스템의 아키텍처 구성은 기간 업무 수행에 어떠한 기술 요소들이 사용되는지 최상위 수준에서 계층별로 표현한 아키텍처 구성도로 작성 - 소프트웨어 구성 파악 - 소프트웨어 구성에는 단위 업무 시스템별로 업무 처리를.. 2021. 7. 9.
[자격증] 정보처리기사 실기 - 합격을 위한 암기 요약본_프로그래밍 언어 활용(2) 15). 사용자 정의 함수 - 사용자가 필요한 기능을 취향대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는 함수이다. - 사용자 정의 함수를 이용하면 프로그램 구조가 간단해지고 이해하기 쉬워진다. - 동일한 코드의 반복 입력을 줄일 수 있다. 16). 재귀 함수 - 자기가 자기를 호출하는 순환 프로그램을 의마한다. - 재귀 함수는 순환하는 만큼 반복하여 실행하면서 변수에 저장된 값을 추적하면 결과를 이해하기 쉽다. 17). Java의 클래스와 메소드 - 클래스는 객체 생성을 위한 필드와 메소드를 정의하는 설계도로, Java는 아무리 작은 프로그램이라도 클래스를 만들어서 사용해야 한다. 18). Python의 기초 - input() 함수 - Python의 표준 입력 함수로, 키보드로 입력받아 변수에 저장하는 함수이다. - 입력.. 2021. 7. 9.
[자격증] 정보처리기사 실기 - 합격을 위한 암기 요약본_프로그래밍 언어 활용(1) 1). 데이터 타입 - 데이터 타입 - 변수에 저장될 데이터의 형식을 나타내는 것으로, 변수에 값을 저장하기 전에 문자형, 정수형, 실수형 등 어떤 형식의 값을 저장할지 데이터 타입을 지정하여 변수를 선언해야 한다. - 데이터 타입의 유형 - 정수 타입 - 정수, 즉 소수점이 없는 숫자를 저장할 때 사용한다. - 부동 소수점 타입 - 소수점 이하가 있는 실수를 저장할 때 사용한다. - 문자 타입 - 한 문자를 저장할때 사용한다 - 작은따옴표 안에 표시한다. - 문자열 타입 - 문자열을 저장할 때 사용한다. - 큰따옴표 안에 표시한다. - 불린 타입 - 조건의 참, 거짓 여부를 판단하여 저장할 때 사용한다. - 기본값은 거짓 이다. - 배열 타입 - 같은 타입의 데이터 집합을 만들어 저장할 때 사용한다. .. 2021. 7. 9.
[GIT] git pull과 git clone의 사용예제 ※ [GIT] git pull과 git clone의 사용예제 ● git pull과 clone 이란? - git pull : 원격저장소의 데이터를 로컬저장소로 가져와 병합 하는 명령어 입닌다. (fetch 와 merge를 진행) - git clone : 원격저장소의 데이터를 복제하여 동인한 셋팅의 로컬저장소를 생성 합니다. ● git pull에 대해 알아보기 & 예제 1. 테스용 디렉터리 생성 mkdir test2 2. 디렉터리의 상태확인 및 작업디렉터리로 초기화 진행 3. github의 원하는 Repository의 url 복사 3. git remote 설정 및 확인 4. git pull 원격저장소별칭 master(브랜치) - 위 명령어를 실행하여 master브랜치로 원격저장소별칭에 해당하는 url에서 데.. 2021. 2. 5.
[GIT] git remote설정과 github으로 push 사용예제 ※ [GIT] git remote설정과 github push 사용예제 ● git push에 대해 알아보기 - git push를 위해서는 작업디렉터리의 remote(원격저장소) 설정이 필요합니다. * remote란 로컬저장소 외의 네트워크 상의 다른 작업 공간 입니다. ● git push를 위한 remote 설정하기 1. github repository 생성 2. github repository url 복사하기 3. git remote 설정 - git remote add 원격저장소별칭 URL 순으로 입력 - git remote -v 로 설정한 원격저장소 확인 ● git push 예제 1. git push -u 원격저장소별칭 master 2. git push 완료 ● Git 관련글 보기 2021/02/03 .. 2021. 2. 4.
[GIT] git commit 사용법과 예제 ※ [GIT] git commit 사용법과 예제 ● git commit에 대해 알아보기 - git commit은 스테이징 영역에 add된 파일의 추가 / 변경 내용에 대해 기록을 하는 것입니다. (commit을 진행하게 되면 스테이징 역역에 있는 파일 local repository은 개인 저장소에 기록을합니다.) - 이전글 참조 2021/02/03 - [형상관리/GIT] - [GIT] git add 사용법과 예제 [GIT] git add 사용법과 예제 ※ [GIT] git add 사용법과 예제 ● git add에 대해 알아보기 - git add는 작업 디렉터리내의 변경 내용을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하는 명령어 입니다. * 작업 디렉터리(working directory)란 : git init.. parkjm.. 2021. 2. 4.
[GIT] git add 사용법과 예제 ※ [GIT] git add 사용법과 예제 ● git add에 대해 알아보기 - git add는 작업 디렉터리내의 변경 내용을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하는 명령어 입니다. * 작업 디렉터리(working directory)란 : git init 명령어를 사용하여 워킹 디렉터리로 초기화가 된 저장소 * 스테이징 영역(staging area)란 : commit을 진행하기전 변경 준비가 완료된 대기 장소 (commit 진행시 staging area에 대기하지 않는 파일은 원격저장소에 전송을 할 수 없습니다.) - git add 진행시 변경 되는 흐름 ● 작업 디렉터리에 임의 파일 생성 해보기 - notepad로 Test.java 파일을 실행합니다. (파일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신규로 생성) ● 새로 만든 파일 확.. 2021. 2. 3.
[GIT] git 명령어 활용_버전확인 및 기본설정 ※ [GIT] git 명령어 활용_버전확인 및 기본설정 * 순서대로 진행해 나아가면 Git 초기 세팅이 가능합니다. ● Directory 이동 - pwd : 현재위치 - ls : 현재 디렉터리의 리스트 - cd : 디렉터리 이동 ● Git 버전확인 - git --version ● Git name, email 설정 - 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네임" - 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"이메일" - git conifg -l : 셋팅 확인 ● 디렉터리 생성 - mkdir : 디렉터리 생성 명령어 ● Git Local 저장소 생성 및 상태 확인 - git init : 현재 디렉토리를 워킹 디렉토리로 초기화(Git Local 저장소 생성) - git stat.. 2021. 2. 3.
[GIT] git 자주쓰는 명령어 ※ [GIT] git-scm 자주사용하는 명령어 ● 명령어 및 설명 명령어 설명 cd 디렉터리명 디렉토리 이동 pwd 현재 디렉토리 표시 ls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, 하위 디렉토리 리스트 표시 git --version 설치된 Git Version 확인 git config --global 속성명 값 Git 속성 설정 ex) 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test" 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"test@test.com" git config -l git config 속성 확인 mkdir 디렉터리명 디렉터리 생성 git init 현재 디렉토리를 워킹 디렉토리로 초기화 (Git Local 저장소 생성) git status 워킹 디렉토리의 상태 표시 git ad.. 2021. 2. 3.
[GIT] git 다운로드 및 설치하기 ※ [GIT] git-scm 다운로드 및 설치하기 ● git-scm 다운로드 1. git-scm.com/ 경로로 이동하기 Git git-scm.com 2. 다운로드 클릭 (아래 이미지 참조) ● git-scm 설치진행 1. 다운로드 받으신 파일을 실행 2. 다운로드 받으신 파일을 실행Only show new options 체크 해제후 Next 진행하겠습니다. (다양한 설정들의 선택하여 진행이 가능합니다.) 3. 다운로드 기능 추가 - Additional icons (바탕화면 아이콘 추가) - Windows Exporer integration (마우스 우클릭시 바로가기 기능추가) - Git LFS[Large File Support] (큰 용량의 파일을 지원) - Associate .git configura.. 2021. 2. 2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