※ [GIT] git add 사용법과 예제
● git add에 대해 알아보기
- git add는 작업 디렉터리내의 변경 내용을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하는 명령어 입니다.
* 작업 디렉터리(working directory)란 : git init 명령어를 사용하여 워킹 디렉터리로 초기화가 된 저장소
* 스테이징 영역(staging area)란 : commit을 진행하기전 변경 준비가 완료된 대기 장소
(commit 진행시 staging area에 대기하지 않는
파일은 원격저장소에 전송을 할 수 없습니다.)
- git add 진행시 변경 되는 흐름
● 작업 디렉터리에 임의 파일 생성 해보기
- notepad로 Test.java 파일을 실행합니다.
(파일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신규로 생성)
● 새로 만든 파일 확인
- 새로 만든 Test.jav 파일이 존재하는지 확인
- 만들어진 파일의 작업디렉터리내 초기 상태 확인
● Test.java 파일 add를 진행 하여 스테이징 영역에 등록하기
- git add 파일명 : 원하는 파일을 스테이징 영역에 등록합니다.
- git add * : 현재 작업디렉터리내의 모든 파일을 스테이징 영역에 등록합니다.
■ Git 관련 정보 보러가기
2021/02/03 - [형상관리/GIT] - [GIT] git 명령어 활용_버전확인 및 기본설정
[GIT] git 명령어 활용_버전확인 및 기본설정
※ [GIT] git 명령어 활용_버전확인 및 기본설정 ● Directory 이동 - pwd : 현재위치 - ls : 현재 디렉터리의 리스트 - cd : 디렉터리 이동 ● Git 버전확인 - git --version ● Git name, email..
parkjm1.tistory.com
2021/02/03 - [형상관리/GIT] - [GIT] git 자주쓰는 명령어
[GIT] git 자주쓰는 명령어
※ [GIT] git-scm 자주사용하는 명령어 ● 명령어 및 설명 명령어 설명 cd 디렉터리명 디렉토리 이동 pwd 현재 디렉토리 표시 ls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, 하위 디렉토리 리스트 표시 git --version 설치
parkjm1.tistory.com
'형상관리 > 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IT] git remote설정과 github으로 push 사용예제 (0) | 2021.02.04 |
---|---|
[GIT] git commit 사용법과 예제 (0) | 2021.02.04 |
[GIT] git 명령어 활용_버전확인 및 기본설정 (0) | 2021.02.03 |
[GIT] git 자주쓰는 명령어 (0) | 2021.02.03 |
[GIT] git 다운로드 및 설치하기 (0) | 2021.02.02 |
댓글